안녕하세요, 여러분!
수학을 따뜻하게 풀어주는 친절샘이에요 😊
오늘은 고등학교 수학에서 꼭 알아야 할 무리함수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.
이름만 들으면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죠?
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**루트(√)**와 친해지기만 하면 훨씬 쉬워진답니다.
✅ 무리함수란?
무리함수는 이름 그대로 ‘무리식이 포함된 함수’를 말해요.
무리함수란?
식에 루트 기호(√) 가 들어가 있고,
그 안에 x가 포함되어 있는 함수를 무리함수라고 해요.
예를 들어,
- y = √x
- y = √(x + 2)
- y = √(3 - x)
이런 함수들이 바로 무리함수예요!
✅ 무리함수의 정의역
무리함수를 다룰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바로 정의역이에요.
왜냐하면, 루트 안에 있는 식은 음수가 되면 안 되기 때문이에요.
(실수 범위에서는 √음수는 정의되지 않아요!)
예시 1)
함수 y = √x 의 정의역은?
→ √x 가 정의되려면 x ≥ 0 이어야 해요.
따라서 정의역은 x ≥ 0 입니다.
예시 2)
함수 y = √(2x - 4) 의 정의역은?
→ 2x - 4 ≥ 0
→ x ≥ 2
따라서 정의역은 x ≥ 2 가 됩니다.
✅ 무리함수의 기본 형태
가장 기본적인 무리함수는 y = √x 입니다.
이 식은 x가 증가할수록 y도 서서히 증가하는 함수예요.
그 외에 아래와 같은 변형 형태도 자주 나와요:
- y = √(x - a) : 오른쪽으로 a만큼 평행이동
- y = √(x + a) : 왼쪽으로 a만큼 평행이동
- y = √x + b : 위로 b만큼 평행이동
- y = -√x : x축 대칭 이동 (그래프가 아래 방향)
그래프는 다루지 않지만, 변화는 꼭 이해해두세요!
✅ 무리함수 예제
예제 1
함수 y = √(x - 3)의 정의역을 구하시오.
풀이:
x - 3 ≥ 0
→ x ≥ 3
따라서 정의역은 x ≥ 3
예제 2
다음 중 무리함수가 아닌 것은?
- y = √x
- y = √(x + 1)
- y = 1 / √x
- y = x² + 1
정답: 4번
→ y = x² + 1 은 루트 기호가 없으므로 무리함수가 아니에요.
✅ 무리함수의 활용 팁
- 문제에서 루트가 보이면 정의역 먼저 확인!
- 함수 안에 있는 식을 ≥ 0 으로 두고 부등식 푸는 연습을 많이 하세요.
- 문제를 풀 때는 항상 "루트 안이 음수가 될 수 있는가?"를 점검해야 합니다.
✅ 연습문제
문제 1
함수 y = √(5 - x)의 정의역을 구하시오.
문제 2
함수 y = √(x² - 9)의 정의역은?
문제 3
무리함수 y = √(x + 4) + 2 에서 정의역과 치역을 각각 구하시오.
📝 정답 해설
1번 해설:
5 - x ≥ 0 → x ≤ 5 → 정의역: x ≤ 5
2번 해설:
x² - 9 ≥ 0 → x ≤ -3 또는 x ≥ 3
→ 정의역: x ≤ -3 또는 x ≥ 3
3번 해설:
√(x + 4) 가 정의되려면 x + 4 ≥ 0 → x ≥ -4
함수는 y = √(x + 4) + 2 이므로 최소값은 √0 + 2 = 2
→ 정의역: x ≥ -4, 치역: y ≥ 2
✅ 친절샘 한 마디 정리
- 무리함수는 루트 안에 x가 있는 함수!
- 루트 안은 항상 0 이상이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.
- 정의역을 찾을 땐 루트 안을 ≥ 0으로 놓고 부등식을 푸는 게 핵심이에요.
'수학 > 공통수학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무리함수의 역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22 |
---|---|
무리식, 무리식의 연산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21 |
분수함수의 역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21 |
분수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21 |
유리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