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등수학 113

2. 나머지(remainder) - human wrote it

# 이 글은 이정훈 작가가 직접 쓴 하루, 수학 글 입니다.나머지는 몫을 채우고 남은 부분을 이르는 말이다. ​나머지(remainder)는 산술에서 두 정수의 나눗셈 이후, 온전한 정수 몫으로 표현할 수 없이 남은 양을 가리킨다위키디피아, 나머지https://product.kyobobook.co.kr/detail/S000213262967 하루, 수학(마음이 읽어주는) | 이정훈 - 교보문고하루, 수학(마음이 읽어주는) | 『하루, 수학』은 수학이 우리에게 주는 위로와 친절함을 전하려 한다. 공식과 계산이 아닌 삶 속 이야기로 수학적 개념을 설명하는 글 속에서 수학이 전해주는product.kyobobook.co.kr 식으로 만나보자. A = (B * C) + R ​이 식에서 R는 나머지다. 풀어보면 A라는..

무리함수의 역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, 수학을 친절하게 알려주는 친절샘입니다😊오늘은 우리가 배운 무리함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서, 역함수를 어떻게 구하는지 배워볼 거예요.함수도 뒤집어 보면 새로운 성질이 보이거든요!📌 무리함수 복습 먼저!무리함수란, x가 루트 안에 있는 함수를 말해요.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은 식들이 대표적인 무리함수입니다.y = √xy = √(x - 1)y = √(2x + 3)이런 무리함수는 그래프가 오른쪽 위로 부드럽게 휘어져 있어요.그리고 무리함수는 항상 **x가 0 이상(또는 어떤 조건 이상)**이 되어야 루트가 존재할 수 있어요.https://product.kyobobook.co.kr/detail/S000213262967 하루, 수학(마음이 읽어주는) | 이정훈 - 교보문고하루, 수학(마음이 읽어주는..

무리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, 여러분!수학을 따뜻하게 풀어주는 친절샘이에요 😊오늘은 고등학교 수학에서 꼭 알아야 할 무리함수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.이름만 들으면 복잡하고 어려울 것 같죠?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**루트(√)**와 친해지기만 하면 훨씬 쉬워진답니다.✅ 무리함수란?무리함수는 이름 그대로 ‘무리식이 포함된 함수’를 말해요.무리함수란?식에 루트 기호(√) 가 들어가 있고,그 안에 x가 포함되어 있는 함수를 무리함수라고 해요.예를 들어,y = √xy = √(x + 2)y = √(3 - x)이런 함수들이 바로 무리함수예요!https://product.kyobobook.co.kr/detail/S000213262967 하루, 수학(마음이 읽어주는) | 이정훈 - 교보문고하루, 수학(마음이 읽어주는) | 『하루, 수학..

무리식, 무리식의 연산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! 수학을 친절하게 알려주는 친절샘이에요😊오늘은 여러분이 헷갈리기 쉬운 개념, 바로 무리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."무리식", "유리화", "연산", "제곱근" 이런 말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다구요? 걱정 마세요!하나씩 차근차근 예제로 익히면 쉽게 마스터할 수 있어요.자, 그럼 출발해볼까요?✅ 무리식이란?우선 무리수가 무엇인지 기억하고 있나요?무리수는 소수로 나타냈을 때 끝나지 않고, 순환하지도 않는 수예요.예를 들어, √2, √3, π 등은 무리수입니다.그럼 무리식은?무리식이란 루트(√) 기호 안에 문자가 포함되어 있거나,수식의 전체 또는 일부가 무리수의 형태로 표현된 식을 말해요.예를 들어,√x2/√3√(x + 1) - √(x - 1)이런 식들은 모두 무리식입니다.✅ 무리식의 덧셈과 뺄셈무리..

분수함수의 역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, 여러분!오늘도 친절하게 수학 개념을 알려드리는 친절샘입니다 😊이번 시간에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주제, 바로 **“분수함수의 역함수”**에 대해차근차근 살펴볼 거예요. 이름만 들어도 복잡할 것 같지만, 겁먹지 말고 함께 도전해보아요!✅ 먼저, ‘역함수’란?함수 f(x)가 있을 때, 이를 입력값과 출력값을 뒤집은 함수를 우리는 역함수라고 불러요.즉, f(x) = y 라면, 역함수는 x = f⁻¹(y) 형태로 표현됩니다.예를 들어,f(x) = 2x + 3 이라면 → f⁻¹(x) = (x - 3) / 2✅ 그럼 ‘분수함수’는?분수함수는 분모에 x가 포함된 함수로,대표적인 예는 f(x) = 1/x, f(x) = 1/(x - a) + b, f(x) = (ax + b)/(cx + d) 와 같은..

분수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!수학의 복잡한 개념도 쉽게 풀어드리는 여러분의 수학 선생님, 친절샘입니다 😊오늘은 고등학교 함수 단원에서 꼭 알아야 할 분수함수에 대해 함께 공부해볼게요.‘분수함수’라고 해서 겁먹지 마세요. 차근차근 풀어보면 정말 재미있는 함수랍니다!✔️ 분수함수란?분수함수는 이름 그대로 분수꼴로 이루어진 함수를 말합니다.정의: 분수함수란 분모에 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함수로,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습니다.f(x) = 1/x, f(x) = 1/(x - a), f(x) = a/(x - b) + c 등즉, 분모에 x가 들어가 있는 함수는 모두 분수함수로 볼 수 있어요!✔️ 분수함수의 기본 형태1. f(x) = 1/x정의역: x ≠ 0치역: y ≠ 0점근선: x = 0, y = 0특징: 원점에 대해 대칭(..

유리함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!오늘도 수학 개념을 차근차근 풀어드리는 친절한 선생님, 친절샘입니다 😊오늘은 고등학교 함수 단원에서 꼭 알아야 할 유리함수에 대해 같이 알아보도록 해요.'유리함수' 하면 괜히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오늘 수업으로 확실히 이해하고 가봅시다!✔️ 유리함수란?먼저 유리함수의 정의부터 볼게요.유리함수란, 분모와 분자에 모두 다항식이 들어 있는 함수를 말합니다.즉, f(x) = (P(x))/(Q(x)) 와 같이 나타내는 함수예요. 여기서 P(x)와 Q(x)는 모두 다항식입니다.예를 들어,f(x) = 1/xf(x) = (x + 1)/(x - 2)f(x) = (x^2 + 3)/(x^2 - 1)위와 같은 함수들은 모두 유리함수예요.✔️ 유리함수의 핵심 특징정의역 제한이 있어요!분모가 0이 되는..

여러가지 유리식의 풀이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!오늘도 수학의 숲을 함께 걸어갈 여러분의 수학 길잡이, 친절샘입니다 😊오늘은 고등학교 수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유리식의 다양한 형태와 풀이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.“분수가 나오면 일단 겁먹는 학생들!”걱정하지 마세요. 원리를 차근차근 이해하면 유리식도 간단한 퍼즐처럼 풀 수 있어요.✔️ 유리식이란?유리식이란 분자와 분모에 다항식이 들어있는 식을 말해요.즉, 다음과 같은 형태죠:(다항식)/(다항식)예를 들어,(1/x), ((x+2)/(x-3)), ((x^2 + 3)/(x^2 - 1)) 등이 대표적인 유리식입니다.✔️ 유리식의 해법 전략유리식을 풀 때는 아래 네 가지 전략을 기억하세요!공통 분모 만들기약분 및 인수분해 활용곱셈은 바로 계산, 나눗셈은 역수 곱하기분모가 0이 되는 값은 제외 (정..

유리식, 분수식, 유리식의 사칙연산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! 오늘도 친절하게 수학 개념을 알려드리는 여러분의 친절샘이에요😊오늘은 고등학교 수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유리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.유리식은 분수처럼 생긴 수학식인데요,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까지 사칙연산이 가능하답니다.자, 그럼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볼까요?✔️ 유리식이란?수학에서 유리식이란, 분모와 분자에 모두 다항식이 들어있는 식을 말해요.쉽게 말해, 다항식을 다항식으로 나눈 형태가 바로 유리식이에요.예시(1/x), ((x+2)/(x-3)), ((x^2 + 1)/(x^2 - 4)) 등은 모두 유리식이에요.반면, sqrt(x), sin(x), log(x) 같은 식은 유리식이 아니랍니다.이들은 다항식이 아니거나, 분모가 다항식이 아닌 경우니까요.✔️ 분수식과 유리식의 차이점은?..

역함수의 성질과 그래프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안녕하세요, 여러분!오늘도 여러분과 수학의 깊은 이야기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친절샘이에요 😊이번 시간에는 함수의 또 다른 얼굴, 역함수의 성질과 그래프**에 대해 배워볼 거예요.함수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는 개념, 바로 역함수!단순히 f(x)를 뒤집는 것이 아니라, 그 속에는 다양한 수학적 성질과 의미가 숨어 있답니다.✅ 역함수 복습부터 시작해요!함수 f(x)가 있을 때,f(a) = b를 만족한다면,**역함수 f⁻¹(x)**는 f⁻¹(b) = a를 만족합니다.즉, 입력과 출력을 서로 바꿔주는 함수가 바로 역함수죠!✅ 역함수의 성질1. 합성했을 때 항등함수함수 f와 역함수 f⁻¹에 대해 다음 관계가 항상 성립합니다.f(f⁻¹(x)) = xf⁻¹(f(x)) = x즉, 역함수를 함수에 다시 넣으면 원래 값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