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학/하루수학-1권 2

2. 나머지(remainder) - human wrote it

# 이 글은 AI가 아닌 이정훈 작가가 직접 쓴 글과 그림입니다.나머지는 몫을 채우고 남은 부분을 이르는 말이다. ​나머지(remainder)는 산술에서 두 정수의 나눗셈 이후, 온전한 정수 몫으로 표현할 수 없이 남은 양을 가리킨다위키디피아, 나머지​식으로 만나보자. A = (B * C) + R ​이 식에서 R는 나머지다. 풀어보면 A라는 공간이 있다. 이 공간은 BxC로 이뤄진 공간에 R 만큼의 공간을 더하거나 빼내면 같은 모양이 된다. ​공간 간의 위치를 조금 바꿔보자 A = R + (B * C) ​역시, 하나의 공간이란 무언가를 채운 후 나머지를 이용해 빼거나 더한 모양새다. 나머지가 먼저인지, 나머지를 제외한 공간이 먼저인지 알 수는 없다. ​나머지가 먼저 만들어진 경우라고 생각해 보자. ​..

1. 다항식(polynomial) - human wrote it

# 이 글은 AI가 아닌 이정훈 작가가 직접 쓴 글과 그림입니다.다항식은 고등학교 수학과정 첫 단원이다. 다항식은 단항식이 모여진 식이다. 따라서 단항식 부터 시작해 보자. 단항식은 수나 문자의 곱으로 이루어진 식으로, 다항식 중에서 한 개의 항으로만 이루어진 식이다. 그 하나의 항은 계수와 변수, 상수로 이루어진다위키디피아, 단항식 단항식의 예 7xy ​ 예시로 들은 단항식은 숫자 7라는 계수와 x, y라는 변수 또는 상수가 서로 곱해진 꼴이다. 정의가 필요한 단어가 많다 계수, 변수, 상수가 가진 말 뜻을 차근히 들여다 보자. 계수는 셀수 있거나 셀수 없는 수를 말한다 인간 사에 빗대면 눈에 보이는 것일 수 있다.다음으로 x, y 라는 기호로 된 변수 또는 상수를 살펴 보자. 변수는 변하는 성질을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