🌟 점과 도형의 평행이동 완전정복
친절한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, 친절샘입니다 😊

🧭 평행이동이란?
“도형이 움직인다”는 말, 어렵게 느껴지시나요?
하지만 걱정 마세요. 오늘은 가장 쉬운 이동, 바로 평행이동을 배워봅니다!
평행이동이란 도형을 특정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
모양과 크기를 바꾸지 않고 옮기는 이동이에요.
기억하세요!
✅ 도형의 위치만 바뀌고,
✅ 모양, 크기, 각도, 길이는 변하지 않아요!
📌 점의 평행이동 공식
점 P(x,y)를
- x축 방향으로 a만큼
- y축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하면
이동한 점의 좌표는?
P' = (x + a, y + b)
✏️ 예제 1
점 A(3, -2)를 x축으로 2, y축으로 4만큼 평행이동하면?
→ A' = (3 + 2, -2 + 4) = (5, 2)
📐 도형의 평행이동
점 하나가 이동한다면?
도형 전체는 그 모든 점이 같은 방식으로 이동하는 거예요.
도형의 평행이동은
도형을 구성하는 모든 점의 좌표에 (a, b)를 더하는 것과 같아요.
✅ 직선의 평행이동
직선의 식이 y = mx + c일 때, x축으로 a, y축으로 b만큼 이동시키려면
x → (x - a), y → (y - b) 를 식에 대입해 정리합니다.
✏️ 예제 2
직선 y = 2x + 1을
x축으로 1만큼, y축으로 -2만큼 이동하면?
y + 2 = 2(x - 1) → y + 2 = 2x - 2 → y = 2x - 4
✅ 원의 평행이동
원의 방정식
(x - a)² + (y - b)² = r²
을 (m, n)만큼 평행이동하면 중심이 (a + m, b + n)이 되므로, 새로운 식은:
(x - (a + m))² + (y - (b + n))² = r²
✏️ 예제 3
다음 원을 x축으로 3, y축으로 -1만큼 이동하세요.
(x - 1)² + (y + 2)² = 9 → 중심: (1, -2), 반지름: 3
→ 이동 후 중심: (4, -3) → 식: (x - 4)² + (y + 3)² = 9
⚠️ 함수의 평행이동도 중요해요!
함수 f(x)의 그래프를
- x축 방향으로 a만큼 → x에 (x - a) 대입
- y축 방향으로 b만큼 → 전체 식에 + b 또는 - b
✏️ 예제 4
함수 f(x) = x²을
x축 방향으로 2, y축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하면?
→ f(x - 2) + 3 = (x - 2)² + 3 = x² - 4x + 7
🧪 연습문제
- 점 B(-3, 5)를 x축으로 4, y축으로 -2만큼 이동한 좌표는?
- 직선 y = -x + 3을 x축으로 -1, y축으로 +2만큼 이동한 식은?
- 원 (x + 2)² + (y - 1)² = 16을 x축으로 3, y축으로 -2만큼 이동한 식은?
- 함수 f(x) = x² - 1을 x축으로 -2, y축으로 +1만큼 이동한 식은?
🧠 평행이동의 특징 요약!
구분이동 전이동 후
점 | (x, y) | (x + a, y + b) |
직선 y = mx + c | 대입: x → (x - a), y → (y - b) | 정리해서 새로운 식으로 표현 |
원 | 중심 (a, b) | 중심 (a + m, b + n) |
함수 f(x) | f(x) | f(x - a) + b |
🧡 요약
평행이동은 함수, 도형, 좌표의 개념을 연결하는 기초 중의 기초입니다.
이동 공식만 알고 넘어가면 안 되고,
어떻게 그래프가 변하는지,
왜 그 위치로 옮겨지는지를 꼭 스스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해요.
그게 바로 수학을 이해했다는 증거랍니다 😊
'수학 > 공통수학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점과 도형의 대칭이동 – 직선에 대한 대칭이동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07 |
---|---|
점과 도형의 대칭이동 – x축, y축, 원점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07 |
원의 접선의 방정식 3 – 원 밖의 한 점에서 그은 접선의 방정식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05 |
원의 접선의 방정식 2 – 기울기를 알 때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05 |
원의 접선의 방정식 1 – 접점을 알 때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