명제의 참과 거짓 – 헷갈리면 이 글 하나로 정리! | 친절샘의 개념쏙쏙 수학교실
안녕하세요, 여러분!
수학의 개념을 친절하게 알려드리는 친절샘입니다 😊
오늘은 수학 논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**"명제의 참과 거짓"**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.
처음엔 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이해하고 나면 정말 쉬워지고, 시험에서도 틀릴 수 없는 포인트랍니다.
🔍 명제란 무엇일까요?
우선 명제의 뜻부터 확실히 알아야겠죠?
명제란 참인지 거짓인지가 분명한 문장을 말합니다.
예를 들어,
- “2는 짝수이다.” → 참
- “5는 4보다 크다.” → 참
- “10은 소수이다.” → 거짓
- “x는 양수이다.” → 명제가 아님 (x가 무엇인지 정해져 있지 않아서 참/거짓을 판단할 수 없어요.)
그러니까 참 또는 거짓을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문장만 명제라고 부른답니다!
✅ 명제의 참과 거짓 판단하는 법
명제는 반드시 하나의 진리값, 즉 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을 가져야 해요.
예시 1
“7은 소수이다.”
→ 맞아요!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니까 소수입니다.
→ 따라서 참입니다.
예시 2
“모든 짝수는 홀수이다.”
→ 이건 너무 명백히 거짓이죠.
→ 따라서 거짓
예시 3
“x² ≥ 0이다.”
→ 여기서 x는 실수라고 하면, x²은 항상 0보다 크거나 같아요.
→ 항상 참인 명제
예시 4
“x > 2 이면 x² > 4이다.”
→ x가 2보다 크면 x²도 항상 4보다 큽니다.
→ 참인 명제
하지만! 아래 예시도 꼭 주의하세요.
❗항상 참이 아니면 ‘항진명제’가 아닙니다
어떤 명제가 모든 경우에 대해 항상 참일 때는 항진명제라고 하고,
항상 거짓인 경우는 모순명제라고 해요.
예시
- “x² + 1 > 0” (x가 실수일 때) → 항진명제
- “x² + 1 < 0” (x가 실수일 때) → 모순명제
이렇게 구별해두면 논리 단원에서 어려운 문제들도 쏙쏙 풀릴 수 있어요.
✍️ 실전 예제 – 명제의 참/거짓 확인하기
문제 1
다음 문장이 명제인지 판단하고, 명제라면 참인지 거짓인지 말해보세요.
(1) 6은 2의 배수이다.
(2) x는 음수이다.
(3) 모든 소수는 짝수이다.
(4) 7은 자연수이다.
풀이
(1) 참 (명제 O)
(2) 명제 X (x가 무엇인지 정해져 있지 않아요)
(3) 거짓 (2를 제외한 모든 소수는 홀수예요)
(4) 참 (명제 O)
🔁 명제의 형태 – 조건이 들어가면?
명제 중에서도 조건문 형태인 "p이면 q이다(p → q)" 형태의 명제도 있어요.
이때는 조건(p)이 참인데 결론(q)이 거짓이면 전체 명제는 거짓입니다.
그 외에는 모두 참이에요!
참 | 참 | 참 |
참 | 거짓 | 거짓 |
거짓 | 참 | 참 |
거짓 | 거짓 | 참 |
이 표, 시험 전에 꼭 암기하고 가세요!
🔄 명제와 관련된 용어들
- 참인 명제: 명제가 성립함
- 거짓인 명제: 명제가 성립하지 않음
- 항진명제: 모든 경우에 대해 참
- 모순명제: 모든 경우에 대해 거짓
- 조건명제: “p → q” 형태로 된 명제
- 명제가 아닌 문장: 진리값이 결정되지 않음 (예: “x는 정수이다.”)
🎯 정리 한 줄 요약
- 명제란 참/거짓이 명확히 판단되는 문장
- 참이면 “참인 명제”, 거짓이면 “거짓인 명제”
- 조건형 명제의 경우, p가 참인데 q가 거짓이면 전체는 거짓
- 항상 참이면 항진명제, 항상 거짓이면 모순명제
이제 명제가 뭔지 확실히 알겠죠?
수학의 시작은 명확한 논리적인 사고력!
여러분이 문제를 풀면서 왜 그런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면, 그건 이미 개념을 완전히 이해한 거예요 😎
🔖 태그
#명제 #수학명제 #참과거짓 #조건명제 #항진명제 #모순명제 #논리수학 #고등수학 #수학논리 #친절샘 #수능수학 #수학개념정리
'수학 > 공통수학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명제의 참, 거짓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20 |
---|---|
명제와 조건, 진리집합, 조건의 부정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1) | 2025.04.20 |
명제와 조건, 진리집합, 조건의 부정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0) | 2025.04.17 |
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1) | 2025.04.17 |
집합의 연산법칙 – 드모르간의 법칙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 (1) | 2025.04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