함수의 그래프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수학의 재미를 알려드리는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 친절샘이에요 😊
오늘은 여러분이 함수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**‘함수의 그래프’**에 대해 설명드릴게요.
1. 함수의 그래프란?
함수의 그래프는 말 그대로, 입력 x에 대한 출력 f(x)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.
각각의 x값에 대응되는 y값을 점 (x, f(x))의 형태로 나타내고, 이 점들을 모아 연결한 것이 바로 그래프예요.
예를 들어, 함수 f(x) = x²의 그래프는 어떤 모습일까요?
- x = -2일 때 f(x) = 4 → 점 (-2, 4)
- x = -1일 때 f(x) = 1 → 점 (-1, 1)
- x = 0일 때 f(x) = 0 → 점 (0, 0)
- x = 1일 때 f(x) = 1 → 점 (1, 1)
- x = 2일 때 f(x) = 4 → 점 (2, 4)
이 점들을 좌표평면에 찍고 매끄럽게 연결하면 U자 형태의 포물선이 됩니다.
이렇게 그래프는 함수를 눈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랍니다.
2. 함수 그래프의 대표 유형
고등학교에서 자주 만나는 함수 그래프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어요.
① 일차함수: f(x) = ax + b
- 그래프는 직선입니다.
- 기울기 a, y절편 b에 따라 그래프의 방향과 위치가 달라져요.
예시: f(x) = 2x + 1
→ 기울기 2, y절편 1인 직선 그래프.
② 이차함수: f(x) = ax² + bx + c
- 그래프는 포물선입니다.
- a > 0이면 아래로 열린 U자, a < 0이면 위로 열린 ∩자 형태.
예시: f(x) = x²
→ 꼭짓점이 원점(0, 0)인 아래로 열린 포물선.
③ 절댓값 함수: f(x) = |x|
- 그래프는 V자 형태.
- x = 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며, 음수 입력이 양수로 바뀝니다.
3. 함수 그래프에서 주의할 점
함수를 그래프로 이해할 때는 다음 사항에 주목하세요.
● 연속성과 불연속성
대부분의 고등학교 함수는 연속이지만, 가끔 그래프에 점이 "뚝 끊어지는" 경우도 있어요.
예: f(x) = 1 / (x - 2) → x = 2에서 그래프가 끊어짐 (정의역에서 제외됨)
● 정의역과 치역 확인
그래프를 그릴 때는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을 항상 함께 생각해야 해요.
예: f(x) = √(x - 1) → 정의역은 x ≥ 1, 치역은 y ≥ 0
4. 실전 예제
예제 1
함수 f(x) = 2x + 3의 그래프 위의 점 중, x = -1일 때 y값을 구하세요.
→ f(-1) = 2 * (-1) + 3 = -2 + 3 = 1
→ 그래프 위에 있는 점은 (-1, 1)
예제 2
함수 f(x) = |x - 2|의 그래프를 생각할 때, x = 2일 때 기울기의 변화는?
→ x < 2에서는 기울기 -1
→ x > 2에서는 기울기 1
→ x = 2에서 방향이 바뀌는 꼭짓점이 존재!
5. 함수 그래프는 왜 중요할까요?
여러분, 수학 시험에서 그래프를 직접 그리라고 하지 않더라도,
그래프를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는 능력은 정말 중요해요.
왜냐하면 함수의 극댓값, 극솟값, 증가·감소 구간 등을 판단할 때
그래프만큼 빠르게 감을 잡게 해주는 도구는 없기 때문이죠.
🔖 정리 요약
- 함수의 그래프는 (x, f(x))를 좌표로 하여 그린 점들의 모임입니다.
- 함수의 종류에 따라 그래프의 모양은 다릅니다.
일차함수는 직선, 이차함수는 포물선, 절댓값 함수는 V자! - 정의역과 치역을 고려하여 그래프를 정확히 이해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