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학/공통수학2

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 - 고등학교 공통수학 2

친절샘 정이 2025. 4. 17. 10:16

🧭 유한집합이란?

고등학교 수학에서 집합은 아주 중요한 개념이에요.
그중에서도 유한집합은 우리가 손으로 셀 수 있는, 즉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집합을 말해요.

예를 들어,

  • A = {1, 2, 3}
  • B = {사과, 바나나, 포도}

이처럼 원소가 명확하게 끝나는 집합은 모두 유한집합입니다.

반면에 다음과 같은 집합은 무한집합이에요.

  • C = {1, 2, 3, 4, ...}
  • D = {x ∈ ℕ | x는 짝수}

이제 오늘의 주제인 “유한집합의 원소 개수”로 들어가 볼까요?

 


✅ 유한집합의 원소 개수 세는 법

유한집합은 원소를 직접 셀 수 있기 때문에, 카운팅이 핵심입니다.

예를 들어,

 
A = {2, 4, 6, 8, 10}

→ 원소 개수는?
n(A) = 5

n(A)는 집합 A의 원소 개수를 의미하는 표기입니다.


✅ 원소가 규칙적으로 나열된 경우엔?

단순한 원소 나열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을 가진 집합의 원소 개수를 구할 때는
등차수열 공식을 활용할 수 있어요!

예제처럼 살펴볼게요.


✏️ 예제 1

문제
A = {x | x는 1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 중 3의 배수}
n(A)는?

풀이
3의 배수: 3, 6, 9, ..., 99 → 등차수열!

  • 초항 a = 3
  • 공차 d = 3
  • 마지막 항 l = 99

등차수열 항의 개수 공식:

 
n = (마지막 항 - 초항) ÷ 공차 + 1
 
→ n = (99 - 3) ÷ 3 + 1 = 33

✅ 정답: n(A) = 33


✅ 합집합, 교집합, 여집합과 관련된 개수 계산

유한집합의 원소 수를 다룰 때 자주 등장하는 공식이 있어요!

 
n(A ∪ B) = n(A) + n(B) - n(A ∩ B)

이 공식은 중복을 한 번 빼주는 역할을 하죠.


✏️ 예제 2

A = {1, 2, 3, 4, 5}, B = {3, 4, 5, 6, 7}
n(A) = 5, n(B) = 5, n(A ∩ B) = 3
n(A ∪ B)는?

 
n(A ∪ B) = 5 + 5 - 3 = 7

✅ 정답: 7


✅ 여집합의 원소 개수는?

전체집합 U에서 A의 여집합 A′는 다음처럼 정의돼요.

 
n(A′) = n(U) - n(A)

✏️ 예제 3

U = {1, 2, 3, 4, 5, 6, 7, 8, 9, 10}
A = {2, 4, 6, 8, 10}

→ n(U) = 10
→ n(A) = 5
→ n(A′) = 10 - 5 = 5

✅ 여집합의 원소 개수는 5


✅ 조건제시법으로 표현된 경우에도?

조건제시법으로 주어진 집합이라면
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원소 개수를 파악해야 합니다.

✏️ 예제 4

B = {x | 1 ≤ x ≤ 100, x는 5 또는 7의 배수}
n(B)는?

풀이
5의 배수 개수:
100 ÷ 5 = 20

7의 배수 개수:
100 ÷ 7 = 14

공통된 배수(5와 7의 공배수 = 35의 배수):
100 ÷ 35 = 2

복사편집
n(B) = 20 + 14 - 2 = 32

✅ 정답: 32


✅ 정리 포인트

개념공식 또는 방법
집합 A의 원소 개수 n(A)
등차수열 형태일 때 (마지막 항 - 첫 항) ÷ 공차 + 1
합집합의 원소 개수 n(A ∪ B) = n(A) + n(B) - n(A ∩ B)
여집합의 원소 개수 n(A′) = n(U) - n(A)

📝 연습문제

  1. 집합 A = {x | 1 ≤ x ≤ 50, x는 4 또는 6의 배수}일 때,
    A의 원소 개수 n(A)는?
  2. U = {1, 2, ..., 20}, A = {2, 4, 6, ..., 20}일 때
    A′의 원소 개수는?
  3. A = {1, 2, 3, 4}, B = {3, 4, 5, 6}, n(A ∪ B)는?

✅ 친절샘의 마무리 꿀팁

  • 유한집합의 원소 수 구하는 건 셈의 기본기!
  • 등차수열, 공배수, 중복원소 주의!
  • n(A ∪ B) 공식은 집합 단원 최강 무기예요 💪

🏷️ 태그

#유한집합 #집합의원소개수 #고등수학 #수능수학 #집합연산 #조건제시법 #집합의개수 #친절샘 #수학개념정리 #티스토리수학블로그 #내신수학